지리적 여건에서 받아들인 천주교

전북 익산시에 속해 있는 여산은 면 소재지로 충남 논산과 접해 있다. 내게는 생소한 지명이었으나, 천주교도들에겐 순교성지로 잘 알려져 있다. 천호성지에 이어 전주교구의 제 2의 성지라고 한다.
예로부터 여산은 충남과 전북을 잇는 호남의 첫 관문이어서 사람의 왕래가 잦았고, 같은 이유로 천주교의 전래도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빨랐다. 1866년부터 1871년까지 계속되었던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천주교 박해인 병인박해 당시 여산 인근의 산골짜기마다 숨어 지내던 수많은 신도들이 끌려와 처형을 당했다.

 
 
 
숲정이, 동헌과 기금터, 옥터, 배다리, 뒷말 치명터 등 여산 전체가 성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한 역사적인 영향 때문인지 지금도 면을 한 바퀴 돌다보면 성당, 교회, 원불교 교당 등이 시야를 벗어나는 법이 없이 들어서 있어 종교적인 색채가 매우 짙은 곳임을 느끼게 한다.
 
우리나라의 여느 시골 면 소재지가 다 그렇듯이 여산면의 중심가도 쇠락한 기운이 느껴지는 작은 마을이었다. 좁은 왕복 2차선 도로를 달려 신협을 끼고 골목으로 올라가니 먼저 옛 여산교회가 보이고, 교회를 끼고 왼쪽으로 방향을 틀어 올라가면 바로 여산성당이 나타난다.

문을 들어서면 예전에는 텃밭으로 이용했다는 널찍한 마당이 있고, 그 위쪽으로 본당과 수녀관 등의 건물 서너 채가 가지런하게 들어서 있고, 수녀관 앞마당에는 잘 단장된 정원이 있다. 전체적으로 아담하면서 단아하고 정갈한 느낌을 주는 성당이다.

지역에서 가톨릭은 신앙이 아니라 현실의 눈 
1980년 6월 25일, 이곳에서는 세상에 잘 알려지지 않은 테러사건이 일어났다. 신군부의 광주학살이 있은 지 한 달여가 지난 그때, 여산성당의 주임신부로 있던 박창신 신부(66세, 정읍 연지동성당 주임신부)가 괴한들에게 습격을 당한 것이다.

당시 마흔의 젊은 신부였던 그는 가톨릭농민회의 지도신문을 제작하면서 비민주적인 사회현실에 눈을 뜨게 되었고,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한 사람으로 반정부운동에 동참하고 있었다. 5·18민중항쟁 이후에 열린 농민대회에 참가했던 농민회 총무로부터 광주 소식을 듣고 매우 끔찍하고 심각한 사태가 벌어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던 차에 천신만고 끝에 광주를 탈출한 김현장(그는 훗날, 1982년 부산 미문화원 방화사건의 배후조종자로 체포되었다)이 전주교구를 찾아와 광주에서 벌어지고 있는 신군부의 민간인 학살에 대해 생생하게 증언했다.

이에 전주교구는 급히 사제단 회의를 열어 김현장이 작성한 유인물 10만 장을 제작해 경상도에 일부를 보내고 전주 시내와 충남 일대에 뿌렸다. 이때가 5월 20일경이었으니, 모든 언론이 통제되고 광주 바깥으로 향하는 길목 또한 완전히 차단된 계엄 하에서 전주교구가 배포한 유인물은 광주의 참상을 세상에 알린 첫 신호탄이었던 셈이다.

원래는 전북에 속해 있던 금산군과 익산군 황하면이 1963년도에 충남으로 편입되었다. 이 황하면에는 여산성당이 관할하는 공소(신부가 상주하지 않는 작은 예배소)가 6곳이 있었는데, 행정구역과는 별도로 모두 전주교구에 속해 있었다. 전주교구는 교구 내의 모든 성당과 공소를 통해 신도들에게 광주의 상황을 알렸다. 충청도에서 유인물을 뿌리며 신도 외의 일반 시민들에게 알린 것은 여산성당 마전공소에 다니던 여중생 유영희, 현미숙, 김양순이었다.
“아니, 전혀 무섭다거나 두렵다거나 그런 생각은 안 했어. 무서운 걸 몰랐지.”
희끗한 머리칼을 뺀다면 예순 중반을 넘긴 나이가 무색할 만큼 젊어 보이는 반듯한 이목구비와 온화하면서도 날카로운 눈빛을 통해 26년 전, 분노와 결기에 찬 그의 모습을 떠올리는 것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었다.

그 후 박 신부는 조심하라는 주위 사람들의 걱정에 조금 몸을 사렸을 뿐 평상시와 크게 다르지 않은 활동을 했다.

그러다가 사건이 일어난 당일, 지금은 성당으로 바뀐 금마공소에서 강론을 마치고 여산성당으로 돌아가려고 할 때 왠지 이상한 느낌이 들었다고 한다. 늘 혼자 버스를 타고 다니던 30리 길인데, 그날만은 혼자 가기가 꺼려져 임을영과 소화숙에게 함께 가자고 했다고 한다. 당시 학생이었던 임을영과 노동운동가였던 소화숙은 금마공소 신도였다.

 
사제관에서 벌어진 테러사건
세 사람은 사제관 2층에서 수확한 토마토를 먹으며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그러다가 주방에서 일하던 아주머니로부터 수상한 그림자가 비친다는 소리를 듣고 임을영과 함께 1층으로 내려갔다. 며칠 전에 도둑이 들었던 터라 성당을 살펴보고 단속을 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박 신부가 잠가두었던 현관문을 여는 순간, 쇠파이프와 칼을 든 청년 다섯 명이 들이닥쳤다. 그 중 네 명은 박 신부를 둘러싸고 칼을 휘두르며 폭행을 했고, 한 명은 임을영을 주방 쪽으로 몰아붙인 채 폭행을 했다. 박 신부는 두 팔을 올려 머리를 감싼 포즈를 취해 보이며 당시 상황을 들려주었다.
“머리만 안 맞았어. 이렇게 하지 않았으면 죽었을 거야. 순식간이었는데도 다섯 군데나 칼에 찔리고 피를 엄청 흘렸어. 왼쪽 갈비뼈도 부러졌지.”

2층에 남아 있던 소화숙이 그 소리를 듣고 내려오자 괴한들이 일제히 달아났다고 하니, 집단폭행을 당한 시간은 불과 2~3분, 길어야 5분을 넘지 않았을 것이다. 여산에서 응급처치를 받은 박 신부는 전북대학교 병원으로 옮겨져 3주 동안 치료를 받고 퇴원했으나, 상처가 악화되다가 1년 뒤에 재발하였다. 하반신 마비까지 와서 석 달 동안 다시 치료를 받았으나, 결국 오른쪽 다리를 절게 되었다. 사건이 일어나고 5년 동안은 휠체어와 목발, 지팡이 등에 의지한 채 사목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지금은 수녀관으로 바뀐 사제관은 옛날 모습 그대로다. 원래 수녀관은 외부인에게 개방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인데, 박 신부의 특별 부탁으로 1층 복도까지만 허락을 받고 사진 촬영도 할 수 있었다. 현관문을 들어서면 좁은 복도가 있고 복도 오른편으로는 주방이, 왼편으로는 2층 사제실로 올라가는 나무 계단이 있다. 박 신부가 테러를 당한 곳은 현관문 바로 옆 복도였다. 두 사람이 나란히 서면 꽉 찰 정도로 좁은 복도에서 그 짧은 시간에 그 만큼의 상처를 입힐 수 있으려면 어지간히 민첩하게 단련된 사람들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